본문 바로가기

★★ iDE~A !!! ★★/아이디어 상품

영화가 현실로?! 국내 연구진 ' 투명망토 ' 개발!!!

스마트 메타물질...

투명망토의 주 소재가 되는 물질입니다...

 

국내 연구진이 투명망토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소식입니다...

 

메타물질을 이용한 투명망토 제작 기술은 국내에서 처음은 아닙니다.

 

'캘리코니아 버클리대 연구팀'이 먼저 성공했었는대요...

하지만 투명망토 처럼 반사물질이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였고...

평평한 직선의 형태만으로만 제작이 가능했었습니다...

 

하지만 국내 연구진은...

이 기술을 발전시켜 진짜 '해리포터'에서 나오는 망토와 유사하게 곡선의 형태로 변형해도

투명망토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질과 기술을 개발한 것입니다...^^

 

이젠 이 기술이 상용하 되면...

군사용 스텔스기나 잠수함에도 활용 가능하다고 하고요...

 

만일 시중에 풀린다면... 좋은 의도 보다는 나쁜 의도로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 생각이 드네요...ㄷㄷㄷ

 

하지만 투명망토를 만들 수 있는 스마트 메타물질이 개발 되었다면...

 

조만간 이를 무력화 시킬 수 있는... 안경이나 렌즈, 조명 등이 개발이 되겠죠...

 

항상 그랬듯... 창이 있으면 방패가 있듯이...ㅋㅋ

 

만일 제가 시중에 풀리기 전에 이 투명망토를 손에 넣는다면...

하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무엇인지는 상상에 맡기죠...ㅋㅋ

 

 

 

 

 

 

 

 

희랍어로 ‘범위나 한계를 넘어선다’는 의미를 가진 메타물질은..

 

 자연계에 없는 성질을 가진 인공적인 물질을 지칭한다...

 원자나 분자 등 자연계에 존재하는 입자로 구성된 물질과 달리 메타물질은

금속이나 실리콘 등 인위적인 물질로 이뤄져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물리법칙을 위반하는 특성을 가진다...

우리가 물체를 본다는 것은 물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본다는 의미다...

 그러나 빛이 메타물질로 감싸인 물체를 만나면 반사되는 대신 물체를 타고 돌아간다...

 반사되는 빛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물체를 볼 수 없게 된다...

 

 빛이 물체를 타고 돌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메타물질이 음의 굴절률을 가져야만 한다...

 이 경우 우리 눈에는 물체의 모습이 보이지 않고 물체 뒤쪽의 모습만 보이게 된다...

 

 그러나 메타물질로 망토를 만들려면 숨기려는 물체와 모양이 똑같아야 하고...

 거기에 맞춰 부분마다 빛의 굴절률을 다르게 설계해야 한다...

 접거나 변형하면 투명망토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는 얘기다...

 

 최근 국내 연구진은 접거나 구부려도 굴절률의 분포가 자동으로 변형되는 ‘스마트 메타물질’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접거나 구부려도 투명망토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모든 방향에서 변형이 동일하게 일어난다...

 

 

이젠... 영화속 '투명인간'도...

 

 

해리포터의 '마법망토'도...

 

현실이 된다...